본문바로가기
박물관소개 박물관소개

박물관소개

양구백자박물관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겁고 유익한 시간 되십시오.

Yanggu Porcelain Museum Culture Center
01. 설립목적
양구백자박물관은 양구 지역의 600년 백자 생산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양구백토의 역사성과 우수성을 연구·전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도자문화의 가치와 전통을 계승·발전시키고자 합니다.
02. 비전 및 핵심 가치
조선백자의 기원과 원료의 중심지인 양구백토를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백자 전문 박물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도자문화 허브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03. 실행 과제
박물관은 매년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연구, 전시,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운영하고, 예산과 운영 전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합니다.
도자기생산지로서 양구는 이미 고려시대 이래로 주목받는 곳이였으며,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 분원에 원료를 공급하였던 곳으로 광주분원의 기술과 조형미가 이식된 곳이기도 하다.

양구일대 도요지 지표조사 결과 40기의 가마터가 확인되었으며 그 지역은 양구군내 現 방산면 소속의 장평리, 칠전리, 현리, 송현리, 오미리, 금악리 등 6개 지역과 인접한 양구읍의 상무룡리 1개 지역을 포함한 총 7개 지역이다.

장평리에서는 7기, 칠전리 5기, 현리 4기, 송현리 7기, 금악리 4기, 오미리 4기, 상무룡리 9기 등 총 40기가 확인되었다.
약 7개 지역에서 백자를 제작할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원료를 확인하였다.

조선후기 왕실 분원에서 생산되던 백자원료의 주요 공급처 가운데 하나가 양구군이었으므로 원료 수급 관계를 통한 광주 분원백자와의 연관성을 알려준다.

실제로 양구에서 채집되는 백자, 청화백자 등은 특히 조선후기 분원백자와의 조형적으로 상호관계가 매우 높다.
6.25이전까지도 요업이 계속되었던 곳으로 조선~근대로 이행하는 시기 우리나라 근대도자 산업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양구의 백자생산역사 600년을 정립하는 이 전시관에서는 조선왕조의 마지막 관요 분원리 청화백자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왕실백자를 서민에게도 확대하였던 조선백자의 마지막 꽃, 양구 청화백자 항아리를 중심으로 질 좋은 양구백토가 빚어놓은 하얀 조선백자의 빛과 그 흐름을 펼친다.

현황

부지면적
8,160㎡
건축면적
833.96㎡
  • 양구백자박물관 양구백자실 : 603.56㎡
  • 양구백자박물관 도자역사문화실 : 1917.58㎡
  • 양구백자박물관 도자기 제작 체험장 : 230.40㎡
구조
철근콘크리트
  • 지상1층 : 전시실, 문화상품판매소, 수장고, 세미나실, 학예연구실, 영상실, 재료창고, 수비·쇄석·성형 공방, 전통가마
  • 지상2층 : 사무실, 특별전시실